.


:




:

































 

 

 

 


()




 

1.

, . , . , , . :

1. ,

2. ,

3.

 

2.

, . - , , . , , , . , . , , . , .

, , . , , .

 

3.

.

(curriculum) currere, . , . .

, , . .

: 1) , ; 2) , ; 3) ; 4) , .

< 1>

, .

 

4.

, .

.

 

5.

5.1

, - , . , .

< 2>

 

5.2

, , .

< 3>

 

5.3

1. , . , .

2. - , , . , . .

3. , . , . , .

 

5.4

1. .

-

- ,

2.

3. ,

4. ,

 

5.5

, :

1. ; 2. ; 3. ; 4. ; 5.//; 6.

5.6

. , , , .

.

 

< 1>

- - - ,
- , , - - ,

6.

:

: ,

: ,

 

7.

. , , . , .

7.1

. .

, . . . , .

, , . , . , . , , . . , , , .

7.2

. , . , .

, , . , .

, . - , , . 10 . , . , AKSE ( ). , .

, , . , , , .

 

1. Collie j. and Slater S. Literature and Language Classroom: A Resource Book of Ideas and Activi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2. .. 20--40- . XX . "". , 2007.

3. .. . , 1977.

4. .. . "". , 1987.

5. . . : . V - , 2013 .. 33-36.

6. . . : , 2016. 294. ISBN 978-89-94356-76-1

7. . - . : , 2016. 590. ISBN 13-9788994356587

8. . . "-". -, 2004. ISBN 978-5-91542-268-0.

9. .. XX . . , 2010.

10. .. XVI-XIX . . , 1994.

11. .., .., . . . , 2003.

12. .. ( XX .). . -, 2004. ISBN 5-288-03532-6.

13. .. . , 1996.

14. 권오경 외. 한국문학개론. 서울: 새문사, 2015.

15. 김윤식, 김현. 한국문학사. 서울: 민음사, 2012.

16. 배규범, 주옥파. 외국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서울: 도서출판 하우, 2010.

17. 신주철. 한국어교육에서 한국 문화문학 교육론. 서울: 컴북스, 2013

18. 윤여탁. 외국어로서의 한국문학. 서울: 한국문화사, 2007.

19.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v102ha110a5

20. http://cafe.daum.net/kaaykgsa/boKz/508?q=%C7%D1%B1%B9%B9%AE%C7%D0%C0%C7%20%C0%C7%C0%C7


 

한국문학 교과서 내용 선정 연구: 러시아 대학의 문학
교과서 제작을 위한

카잔연방대학교 교수 고영철

 

1. 연구목적과 주제

러시아 학습자들이 한국문학 교육을 통해 한국인들의 정서를 대리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한국 문학 교과서를 제작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에 담길 문학내용, 문학 요소, 문항 항목을 연구하여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주제를 설정한다.

첫째 외국인들에게 한국어 학습능력 증진을 위한 목적으로서의 한국 문학의 내용 연구

둘째 한국인의 문화와 정서를 이해하게 하는 한국 문학의 내용 연구

셋째 한국문학의 내용적 시대적 적합한 내용 선정 연구

 

2. 연구의 필요성

한국어교육에서 한국 문화와 문학 교육에 대한 관심과 연구, 현장에서의 가르침은 꾸준히 증가해 왔다. 언어를 가르치고 배운다는 것이 단순히 어법과 어휘를 교수-학습하는 것이 아니다. 언어에 배어 있는 목표 언어권 사람들의 의식이나 사고방식을 배워야 그들과 제대로 의사소통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일상생활에 필요한 언어 정도라면 문제가 덜하겠지만 그 이상의 목적을 두고 언어를 가르치고 배우게 될 때는 문화와 문학 교수-학습이 더욱 중요해진다. 목표 언어권의 문화와 문학을 교수-학습하지 않으면 목표 언어의 심층적인 구조는 물론 언어로 표현된 역사적, 정신적 가치들을 제대로 알 수 없게 된다. 이처럼 문화와 문학 그리고 언어 교육은 결코 분리될 수 없다.

또한 제2언어 습득의 차원에서 볼 때, 의사소통시의 언어, 문화 및 문학 능력의 습득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도 나타난다. 따라서 한국어교육에서 문학 교육은 모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문학 교육과는 달리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을 고려해야만 할 것이다. 또 다양한 문학 작품들을 교육 과정 및 교재에 배열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복합적이며 순차적인 특성들이 잘 반영된 위계화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즉, 학습자의 발달과 능력 수준에 맞는 적절한 한국 문학 내용의 선정은 한국 문학 교육의 교육목표를 달성하는 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라 하겠다.

3. 연구문제

한국 문학교육을 왜, 어떤 내용으로 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의 선정이다.

교육과정을 뜻하는 커리큘럼(curriculum)이란 라틴어로 뛴다라는 뜻의 동사인 쿠레레(currere)에서 연유한 것으로, 명사로서의 커리큘럼은 달리는 코스(course)를 의미한다. 이것이 교육에 적용되어 일정한 순서로 배열된 학습 코스와 더불어 학습이나 경험내용을 의미하게 되었다.

교육과정은 교육내용을 교육목표와 과학적 체계에 기초하여 학생들의 연령발달단계에 따라 계통적으로 배분하게 된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구성 및 내용은 기본적으로 사회문화의 발전과 그 반영으로서의 교육에 대한 요구나 관심으로 규정된다.

그래서 한국 문학 교육 내용의 범주를 1) 한국 문학 작품을 통한 문장으로서의 문장 문학 2) 이를 담화로 이해하는 담화문학 3) 자신의 국가 문학이나 기존 작품과의 비교문학 4) 이를 직접 활용할 수 있는 화용 문학으로 구분한다.

<그림 1> 한국 문학 교육 내용의 범주

 

한국 문학 교육과정은 한국 문학 교육을 통하여 전수되는 계획된 한국 문학 교육내용을 뜻하는 것으로, 교육의 핵심을 이루고 그 성격이나 질을 결정하게 된다.

 

4.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한국과 러시아의 문학작품과 도서에 대한 문헌 연구와, 학생들의 흥미도와 관심도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다. 조사된 자료들을 통해 분석 한 후, 교육내용을 결정한다.

이때 중요한 연구방법은 외국인 학습자에 필요한 한국 문학 항목을 선정할 때 어떤 원칙이 필요할 것인가? 에 대한 것이다.

 

5. 연구내용

5.1한국 문학 항목의 구성

한국 문학 항목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 문학 내용에 관련된 요소를 선정한다.

선정한 한국 문학 요소는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서 적절한 유형으로 재구성한다.

 

<그림 2> 한국문학 내용의 구성 위계

 

5.2 한국 문학 항목의 유형

한국 문학 항목은 한국 문학 요소를 구조화하여 만들어 지는 것인데, 한국 문학의 요소가 다양하기 때문에 여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림 3> 한국문학 내용의 형태

 

5.3 한국 문학 항목의 선정

1. 제한된 시간에 모든 한국 문학 항목을 가르칠 수는 없기 때문에 중요한 것을 선정할 수 밖에 없다. 특정 교육과정이나 교수요목에 어떤 문학 항목을 교육 대상으로 삼을 것인가가 문학 항목 선정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2. 항목이 제대로 선정되지 않는다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반드시 교수되어야 할 필수적인 항목이 배제되면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다. 교수 방법, 평가 등에도 연쇄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3. 한국과 러시아에서 출판된 한국 문학의 교재를 비교해 보면, 교재마다 내용에 큰 차이를 보인다. 이를 통해 집필자들이 한국 문학 항목에 대해서 다른 직관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복합 구성인 표현 항목에 대해 일정한 기준이 없기 때문이다.

 

5.4 한국 문학 항목의 선정 기준

1. 한국문학 내용의 핵심적인 것을 선택한다.

-핵심적인 것에는 절대적인 개념과 상대적인 개념이 존재한다.

-하나의 문학 범주 안에서도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것을 선정할 수 있다.

2. 항목은 필수적인 요소로 구성한다

3. 보편적, 일반적인 문학 양상을 고려한다.

4. 교육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것을 선정한다.

 

5.5 한국 문학 항목의 배열기준

한국 문학 항목을 배열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다

1. 사용빈도 2. 난이도 3. 일반화 가능성 4. 학습자 기대 내용 5. 주제/기능/과제 6. 연계성

 

5.6 한국 문학 항목의 배열 원리 및 적용

한국 문학 항목의 배열은 교수요목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교수요목은 무엇을 어떤 순서로 가르칠 것인가를 상세화한 것으로서, 의사소통 기능, 주제, 상황 그리고 문학 항목의 배열이 그 안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교수요목은 크게 결과 중심 교수요목과 과정 중심 교수요목으로 나뉜다.

<표 1> 교수요목의 유형

유형 특징
결과중심 -최종 소산물을 중시함 -언어와 문화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접근 방식을 취함 -언어 항목을 학습자가 배우기 쉽게 작은 단위로 쪼개서 제시
과정중심 -의사 소통의 목적, 활동, 과제에서 출발하며 과정에 관심을 가짐 -분석적인 접근방식임. -학습자는 난이도가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는 다량의 언어를 접하게 됨.

 

6. 연구대상:

러시아 대학생을 위한 한국문학 교재의 내용을 선정하기 위한 연구 대상은 다음과 같다;

l 한국문학 관련서적: 한국문학의 고등학교 및 대학교재, 한국문학과 관련된 도서, 문학 작품

l 러시아의 한국문학 관련 서적: 한국문학 관련 서적, 한국문학의 번역 작품

l 러시아인 들의 한국에 대한 정서적 인식과 시대적 영향요인

l 러시아 학생들의 한국 문학 작품에 대한 관심도

 

7. 연구의 의의

본 연구에서는 한국문학 교과서 제작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내용 선정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된 내용을 기초로 러시아인을 위한 한국문학 도서가 개발 됨으로써 대학생과 나아가 일반인들에게 한국문학을 더욱 알리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와 더불어 장차 다음과 같은 실존적 의의가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7.1 한국 문학의 특질에 대한 탐구의 필요성

한국 문학의 특질을 다양한 견해를 바탕으로 정리해 보면, 내용적으로 한국 문학은 자연 친화적 자세를 취해 왔다. 자연과 인간의 삶을 별개의 것으로 보지 않으면서도 세상 사람들의 마음과 세상 물정을 세밀하게 포착한다.

특히 시조와 판소리에는 독특한 미의식이 잘 드러난다. 형식적으로는 시상을 일으켜 전개한 후 집약하고 마무리하는 3단계 구성을 특질로 꼽을 수 있다. 다양한 율격과 리듬도 특질이다. 표현적인 면에서는 풍자와 해학을 통해 삶의 면면을 드러내면서 한국인의 정서와 삶, 문화를 담아 왔다.

또한 한국 문학의 특질은 무엇을 주목하고 강조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한국 민족의 수난에 주목하면 한과 은근과 끈기가 특질로 부각될 수 있으나, 저항과 극복에 주목하면 골계가 부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조선 후기 평민들의 문학에는 고난을 골계로 넘어서고, 사회의 모순을 비판하고 풍자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이런 특질이 모든 시대를 관통하는 것은 아니기에 지속적 연구가치가 있을 것이다.

7.2 한국문학이 외국에서 연구된 성과가 미흡하기에 발전 가능성이 있다.

외국에서의 한국문학에 대한 독자적인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이루어진 한국문학 연구를 받아들여 소개하려는 노력도 미흡하다. 한국문학을 전공하는 외국인 학자는 소수이고. 외국에서 한국문학에 관해 가르치고 있는 한국인 학자 가운데 한국문학 전공자가 드물다.

외국에서 출간된 한국문학사도 몇 권 있지만 내용이 충실하지 못하다. 한국 문학 작품 번역의 성과도 그리 많지 않아 한국문학을 제대로 알리기 어렵다.

한국학의 여러 분야 가운데 문학을 소홀하게 여기고, 특히 고전문학에 관해서는 전공자가 거의 없다. 러시아에서는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전문가들이 한국 고전의 일부를 번역하고 있는 작업이 몇 십년 전부터 시작하였으나 현재는 지속되지 못하고 있다, 최근 현대문학의 번역작업은 2014년 이후부터 매년 10여권이 러시아어로 번역 출간되었다, 미국에서는 정치학을 위시한 사회과학이, 일본에서는 역사학과 어학이 한국학연구의 중심 분야이고, 문학은 소홀하게 취급되고 있다. 외국에서 한국학을 하는 연구 모임 가운데 AKSE(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in Europe)라고 약칭되는 구주한국학회에서는 문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발표를 계속하고 있다. 프랑스 학자 다니엘 부셰(Daniel Bouchez)는 연구수준이 높아서, 도리어 한국의 학계 및 문학계에도 자극을 주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한국문학번역원의 번역사업과 번역가 양성교육 그리고 외국 번역자 초청 교육 등으로 한국문학의 국제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에 따라 러시아에서도 한국문학에 대한 전문적 연구자의 수가 증가하고 질적인 연구가 지속되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1. Collie j. and Slater S.. Literature and Language Classroom: A Resource Book of Ideas and Activit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2. .. 20--40- . XX . "". , 2007.

3. .. . , 1977.

4. .. . "". , 1987.

5. . . : . V - , 2013 .. 33-36.

6. . . : , 2016. 294. ISBN 978-89-94356-76-1

7. . - . : , 2016. 590. ISBN 13-9788994356587

8. . . "-". -, 2004. ISBN 978-5-91542-268-0.

9. .. XX . . , 2010.

10. .. XVI-XIX . . , 1994.

11. .., .., . . . , 2003.

12. .. ( XX .). . -, 2004. ISBN 5-288-03532-6.

13. .. . , 1996.

14. 권오경 외. 한국문학개론. 서울: 새문사, 2015.

15. 김윤식, 김현. 한국문학사. 서울: 민음사, 2012.

16. 배규범, 주옥파. 외국인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 서울: 도서출판 하우, 2010.

17. 신주철. 한국어교육에서 한국 문화문학 교육론. 서울: 컴북스, 2013

18. 윤여탁. 외국어로서의 한국문학. 서울: 한국문화사, 2007.

19.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v102ha110a5

20. http://cafe.daum.net/kaaykgsa/boKz/508?q=%C7%D1%B1%B9%B9%AE%C7%D0%C0%C7%20%C0%C7%C0%C7


 





:


: 2016-11-24; !; : 605 |


:

:

, .
==> ...

1259 - | 1215 -


© 2015-2024 lektsii.org - -

: 0.068 .